민주적인 성공회의 조직
당신교회의 쇄신과 선교를 위해 협의하고 있는 우리들과 함께 하소서.
교회의 회의를 위한 기도 중에서
성공회는 가장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교회조직입니다. 성공회는 모든 단위의 교회 조직에서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교회이고 평신도들의 참여와 역할이 중요한 교회입니다.
성공회에서의 가장 중요한 교회의 조직 단위는 교구(diocese)입니다. 교구는 주교의 행정적, 목회적인 지도 하에 있는 본교회와 선교교회들의 집합체를 말합니다. 본교회(parish)는 재정적으로 자립하는 교회이며 선교교회(mission church)는 재정적으로 자체 자립이 불가능하여 교구의 보조를 받는 교회를 말합니다. 교회는 교우들의 직접선거에 의하여 선출되는 교회위원들이 교회의 책임을 맡고 있는 사제와 협력해서 교회 안팎의 여러 가지 사업을 계획, 집행하고 발전시킵니다. 그리고 교회의 재정과 건물관리를 합니다. 교구는 교구의회를 통하여 민주적인 절차로 운영합니다. 교구의회는 모든 성직자들로 구성하는 성직자원(House of Clergy)과 각 교회의 평신도 대표로 구성하는 평신도대의원(House of Laity)으로 구성됩니다. 교구의회의 모든 의결 사항은 별도로 진행되는 양원의 투표를 통하여 결정이 됩니다.
이것은 전국총회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전국총회(또는 관구의회)는 주교원(House of Bishop)과 대의원(House of Deputy)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의원은 다시 성직자원과 평신도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공회의 모든 최종 의결권은 이 전국총회가 가지며 전국총회는 양원을 완전히 거쳐야 모든 정책이 결정됩니다.
세계 성공회는 철저한 의회제도의 민주적인 교회입니다. 성직자와 평신도가 함께 교회운영에 참여하고 온 교회의 합의를 창출하여 민주적으로 교회를 운영하는 자랑스런 전통을 갖습니다. 주교들만 모여서, 혹은 성직자들끼리만 모여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믿고 평신도들의 참여와 역할이 큰 교회이고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을 소중히 여기는 교회입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