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giving does not mean forgetting. When we forgive a person, the memory of the wound might stay with us for a long time, even throughout our lives. Sometimes we carry the memory in our bodies as a visible sign. But forgiveness changes the way we remember. It converts the curse into a blessing. When we forgive our parents for their divorce, our children for their lack of attention, our friends for their unfaithfulness in crisis, our doctors for their ill advice, we no longer have to experience ourselves as the victims of events we had no control over.
Forgiveness allows us to claim our own power and not let these events destroy us; it enables them to become events that deepen the wisdom of our hearts. Forgiveness indeed heals memories.
용서를 한다는 것은 잊어버린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을 용서할 때, 그 상처에 대한 기억은 좀더 오래 갈수 있습니다. 어쩌면 평생갈지도 모릅니다. 어쩔때는 그 기억들이 눈에 보이는 증표로 우리 몸에 남아 있을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잊을래야 잊을수가 없지요) 하지만 용서를 통해서 우리는 그 기억들을 다르게 기억할수 있습니다. 저주가 축복으로 바꾸어 지는것이지요. 우리가 부모님이 이혼한것에 대해서, 자녀들이 우리에게 덜 신경쓰는것에 대해서, 힘들때 믿었던 친구들이 우리를 외면하는것에 대해서, 의사들이 잘못된 처방을 내리는것에 대해서… 우리는 더이상 우리가 어쩔수 없는 그러한 경험들에 대해서 피해자로 살아갈 필요가 없습니다.
용서는 우리 자신의 힘을 깨닫게 해주고, 더이상 그 일들이 우리를 망치게 하지 않습니다. 도리어 그것들로 하여금 우리 마음 깊숙한 지혜의 창고를 더 풍성하게 만들어 줍니다. 진실로 용서는 기억들을 치유해 줍니다.
—————–
진행되고 있는 움직임 강의에서 강조되는 단어들중 하나가 “Control” 입니다. 경험해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분명히 내 몸인데도 그것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고, 자꾸만 다르게 움직이려고 합니다. (경험하지 못하신 분은 지금 당장 일어선 자세에서 다른 발가락은 바닥에 두고 엄지발가락만 들어보세요. 하지 움직임중 중요한 요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머리로는 명령을 내리는데 그저 쳐다보고 있기만 합니다. )
심리학에서도 이 control 이라는 단어는 아주 중요합니다.
발가락과 마찬가지로, 내 마음은 내가 조정할수 있어야 합니다. 내 마음인데 남이 마음대로 조정을 해버릴때 문제가 생기는 것이지요.
설령 남이 아니더라도, 과거의 상처, 즉 바꿀수 없는 상처가 오늘의 나를 조정한다면 그것 역시 이상적인 상황은 아닐것입니다.
과거의 기억 또는 상처때문에 오늘의 내가 건강하지 않는 행동을 한다면, 또 그렇게 건강하지 않는 행동을 계속 함으로써 또다른 상처를 만들어 낸다면 그것은 더 큰 문제를 일으킬수 있습니다. ( 엄지발가락 정도가 뭐.. 하실수 있겠지만, 엄지발가락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걸을때 그 부족함을 보상하기 위해서 다리 전체가 특히 고관절주위의 근육들이 과사용되고, 오래 서있지 못하게 되어서 다른쪽 다리를 과사용하게 되는 불균형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마음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떻게 나에게 그럴수가 있어.. 할 때, 어쩌면 그 행동을 내가 허락해서 발생한 일 일수도 있습니다. 선을 분명히 긋지 못해서 발생한 것이지요.
어쩔때는 아무리 선을 그어도 무자비하게 침범을 해서 상처를 줄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상처를 계속 안고 있느냐 밖으로 내 보내느냐, 상처를 다른 형태로 승화시키느냐는 전적으로 나에게 달려있습니다.
제가 엄지발가락 들기 운동을 대신해 드릴수 없습니다.
저는 저의 엄지발가락만 들수 있습니다. 본인의 엄지발가락은 본인이 들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힘들지만, 그것이 내 것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나의 의지에 굴복을 하고 말 잘듣는 부분이 될것입니다.
하나더…
치료실에서, 그 발가락의 움직임을 도와주기 위해서 가만히 저의 손을 그 발가락에 얹어 놓고, 자극을 주어 그 조정을 도와드리기도 합니다.
발가락을 움직이는것은 전적으로 본인의 노력이지만,
모르고 있었던 발가락 움직임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손으로 그 움직임을 유도해내는것.. 그것이 교회의 사명이기도 합니다.
처음에 잘 못해도..괜찮습니다.
0 Comments